사단법인한국소음진동공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용어검색

Parseval\'s Theorem

시간영역(time domain)에서의 총 파워(total power)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의 총 파워는 같다는 원리로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는 시간의 함수, 신호, 의 푸리에 변환, 는 시간, 는 주파수이다.

Particle Velocity

매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의 속도를 일반적으로 말하는 용어이다. 음파의 경우에 입자속도는 음압 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여기서 는 매질의 평형밀도이다. 즉 미소 매질에 가해지는 음압차에 의하여 입자가 뉴턴 법칙에 따라 움직임을 표현한다. 음향학에서 입자속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음압이 스칼라(scalar)양임에 비하여 입자속도가 벡타(vector)라는 점이다. 즉 음파의 전파방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또한 음향 인텐시티는 음압과 입자속도의 곱으로 표시되는 음향 인텐시티는 단위면적당 음향 파워를 나타내며 음의 전파 방향을 표현한다.

Peak

신호의 정점, 즉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 또는 스펙트럼(spectrum) 나타나는 뾰족한 부분으로, 큰 파워를 나타내고 있는 점을 말한다.

Peak Amplitude Method

계의 주파수 응답함수로부터 계를 해석하는 방법의 하나로, 계의 공진 주파수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감쇠(damping)가 크지 않을 때, 주파수 응답함수에 나타나는 피크 정보로부터 계의 특성을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Peak - picking’ 방법이라고도 한다.

주파수 응답함수에서 피크치를 찾아내고 이 점의 주파수를 고유진동수 로 결정한다. 파워가 반으로 떨어지는 점의 진동수를 라 놓으면 다음 식에서 감쇠비 을 구한다.

Peak Level

피크의 값, 즉 신호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어떤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대표값의 하나로 실효치와 더불어 많이 쓰인다. 참고) Peak

Peak-to-Peak

-

P신호의 피크와 피크 사이의 값이다. 즉,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 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값이다.

실효치와 피크치

Perceived Noise Level : PNL

소음의 시끄러운 정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방법으로 다음의 과정으로 계산한다. 단위는 dB를 PNdB로 표시한다.

(1) 소음을 0.5초 이내의 간격으로 1/1 또는 1/3 옥타브 대역 분석을 하여 각 대역별 음압 레벨을 구한다.

(2) 옥타브 대역 분석 데이타를 감각 소음 곡선(perceived noisiness contours)을 이용하여 노이(noy)값으로 바꾼다.

(3) 다음식에 의해 총 노이값 를 구한다.

여기서 는 각 노이값, 는 각 대역별 노이값 중 최대값이다.

(4) 다음식에 의해 PNL을 구한다.

Period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어떤 현상이 반복될 때 그 현상을 주기적(periodic)이라 하고, 주기적 신호에서 동일한 상태가 재현되기까지 경과한 최소의 시간 간격을 주기라 한다.
어떤 주기적 현상의 주기를 라 할 때, 는 그 현상에 대한 주파수가 된다.

같은 주기를 갖는 두 신호의 예

Permanent Threshold Shift

인간의 귀가 높은 소음레벨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귀의 작동에 손상을 가져오나 소음이 제거되면 어느 정도의 시간 경과 후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오랜기간 반복되면 귀의 손상이 회복되지 못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영구적 난청이라 한다. 영구적 난청을 일으키는 청각계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흔한 것은 달팽이관 내부에 있는 청각기관 중의 하나인 미세한 섬모 세포(hair cell)가 지속적이고, 무리한 자극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Phase

(1) 교류신호의 반복파형의 한 주기 사이의 어느 순간의 위치를 말한다. 이 때 1 사이클을 원의 되풀이의 한 가지라 생각한다면 기준점에서 이 순간의 위치를 측정한 각도로 나타낼 수 있게 될 것이며, 1 사이클은 360도가 되고 반 사이클은 180도로 나타나게 된다.(위상각)

(2) 복소함수를 복소수 영역에 나타낼 때, 복소함수 벡터와 실수축이 이루는 각도를 위상 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 크기
       


(3) 위상차의 개념으로 위상도가 사용된다. 엄밀하게는 위상차라는 용어가 올바른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전달함수의 위상은 힘과 변위 사이의 위상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