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bine Absorptivity
새빈의 흡음 계수
벽면의 흡음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이다. 벽면 전체에서 흡수되고 반사되는 현상에 대해, 전체 면적 중에서
의 면적을 갖는 일부분에서 반사없이 완전히 흡수된다고 가정함으로써, 그 등가 면적
를 통해 흡음의 정도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새빈의 흡음 계수는
Sabine(Unit)
새빈
실내 흡음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로, 실내 흡음 정도를 음이 완전히 흡수되는 등가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등가면적을 새빈(sabine)이라 하며 단위는 (metric sabine) 또는
(british sabine)이 된다.
이것은 sabine이 실내 음향을 연구할 때 한 일련의 실험에서 사실상 유래한다. 다년간의 연구에서 sabine이 발견한 것 중의 하나는 실내 음향의 질적 척도 중의 하나는 열려진 창의 면적과 깊은 관련이 있고 이 열려진 창의 면적은 실내에 배치한 각 종 흡음재와도 유관하다는 사실이었다. 따라서 어떤 음이 실내에서 60 dB 감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 잔향시간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abine\'s Formular(Equation)
새빈 공식
sabine에 의하여 알려진 실내에서의 잔향 시간과 실내의 체적, 전체 흡음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다음과 같이 쓴다.
Sampling
샘플링
연속적인 신호를 이산화하여 처리하기 위해서, 불연속적으로 신호를 채집하는 것을 뜻한다. 다음은 정현파를 샘플링하는 예이다.
Sampling Frequency
샘플링 주파수
샘플링시 신호를 채집하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Sawtooth Wave
톱니 파
톱니 모양의 파형을 갖는 음파로 충격파(shock wave) 등에서 나타난다.
Scanning
주사
신호 채집법의 하나로 공간적, 시간적 평균을 취하기 위해 센서(예,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평면 위를 계획적으로 혹은 무작위적으로 움직이며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공간상의 평균 인텐시티의 측정을 위해 분석기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공간상의 다채널의 신호를 요구하는 근접 음장 홀로그래피(near field acoustic holography)등에서도 사용되는 용어이다.
Scattering
산란
음파의 진행 경로에 임의의 불연속성이 존재하여, 음파의 진행 경로가 바뀌어지거나 혹은 생성되는 현상을 말하며 산란현상은 크게 반사(reflection), 굴절(refraction), 회절(diffraction)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나 통상은 이 현상들의 복합적이고 반복적인 경우를 뜻한다. 협의의 산란은 대체적으로 파장의 길이가 관심 음장 안에 존재하는 물체의 길이에 비하여 클 때 나타나는 현상을 지칭하기도 한다.
Schwarz-Christoffel Transformation
슈바르츠-크리스토펠 변환
다각형 내부를 상반면(upper half plane)으로 바꾸어 주는 변환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DOF (Single Degree of Freedom)
일 자유도계
자유도가 하나인 요소 또는 계(system). 즉, 하나의 좌표로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요소, 또는 계를 뜻한다.
COPYRIGHT 2016 ⓒ KSNVE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10버전 이상에서 최적화 되었습니다. 보안과 최적화를 위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업데이트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