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bled Tone
진음(震音)
주파수가 어떤 범위 내에서 연속적,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음.
Wave
파동
에너지 등과 같은 물리량이 매질을 통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달되는 현상으로 매질 자체의 전달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파동의 진행 방향과 매질의 운동 방향의 관계에 따라 두 방향이 일치하는 종파(longitudinal wave)와 수직한 방향을 갖는 횡파(transverse wave)로 구분된다.
Wave Equation
파동 방정식
파의 시, 공간에서의 지배 방정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균일한 현을 따라 전파되는 파동에 대한 파동 방정식은 뉴우튼의 제 2법칙으로부터
Wave Front
파면
파가 진행할 때 임의의 시점에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공간상의 점들을 이은 면으로 그 형태가 구면일 때 구면파(spherical wave)라고 하고 평면일 때는 평면파(plane wave)라 부른다.
Wave Guide
도파관
파(wave)가 관내를 지나면서 파장이 덕트 단면의 특성 길이보다 작게 될 때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모드(mode)가 생겨 파(wave)가 덕트의 내벽을 따라 인도되며 진행해 가는데 이 때의 덕트를 도파관이라 한다.
Wave Length
파장
파가 존재하는 매질 내에서 파형이 한주기의 위상차가 되는 두 파면간의 수직 거리 혹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보통 로 표시한다.
Wave Number
파수
단위 길이 안에 들어있는 음파의 반복 횟수를 호도법으로 표시한 것으로 정의된다. 주파수와 파동 속도와의 비로도 표시되며 기호는 를 사용한다.
Waveform
파형
임의 시간에서 파(wave)의 공간상의 형상 또는 임의의 지점에서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의 형상을 말한다.
삼각파, 톱니파, 사인파 등이 있다.
Weighting (A, B,...)
가중치
주파수에 따라 그 중요도를 판단하여 신호의 크기에 가산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Weighting은 인간의 귀가 민감하게 느끼는 1000 Hz에 가장 큰 가중치를 준 것으로 40 phons loudness 곡선과 거의 같은 형태를 갖는다.
또한 B, C Weighting은 70, 100 phon contour와 각각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D Weighting은 항공기 소음의 해석에 이용된다.
White Noise
백색 잡음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단위 주파수당 파워가 일정한 잡음으로서 랜덤 노이즈(random noise)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백색광은 모든 파장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데서 유래한 용어이다. 백색 잡음의 power spectrum 는 상수이고, 자기 상관 계수(autocorrelation function),
은 충격함수가 된다.
COPYRIGHT 2016 ⓒ KSNVE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10버전 이상에서 최적화 되었습니다. 보안과 최적화를 위해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업데이트 해주세요.